[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변론 종결이 다가올수록 전국적으로 탄핵 반대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지난 주말 보수의 텃밭이라고 불리는 대구·경북(TK)에서 서울 광화문 제외 탄핵 반대 집회 역대 최대 인원이 모여 대통령 석방을 외쳤다.10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지난 8일 오후 2시 영하의 날씨에도 동대구역 광장에는 15만명이 모여 "탄핵 무효"를 외쳤다.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주장은 보수층과 2030 청년층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단순히 우파 결집 현상이라고 하기엔 통계상 수치가 너무나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당인 국민의힘도 반사 효과로 지지율 상승을 보이고 있다. 보수층이 이렇게까지 결집하는 것은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에 대한 반감도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의 계엄선포에 대해서 보수층도 처음엔 반발했지만, 민주당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등 국무위원 줄탄핵, 부분별한 미래 예산 삭감, 무리한 악법 통과 및 특검 추진 등과 오버랩 되면서 보수층의 문제의식을 키웠다는 지적이다.또 헌정사 최초 현직 대통령이 구속·기소되면서 동정 여론까지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이어 겨우 들어선 보수정당 대통령이 다시 탄핵 위기에 몰리자 반발 심리가 발동했다는 것이다.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옥중 메시지를 통해 헌재의 이념 편향성, 수사 절차의 부당함 등이 알려지면서 민주당 집권에 대한 우려를 가진 보수층이 `탄핵 반대`라는 명분으로 결집했다는 분석이다.실제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헌재 5차 변론기일에 참석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등의 증언이 검찰 공소장과 다름을 확인, 민주당과 주요 핵심 증인의 연루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비상계엄 이후 숨죽였던 여권 정치인들의 행보도 주목 받고 있다. 지난 동대구역 집회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뿐 아니라 TK를 지역구로 두거나 대구에 연고가 있는 비례대표 등 12명이 참석했다.또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나경원·김기현·윤상현 의원 등 당 중진들도 윤 대통령을 접견하고 윤 대통령의 입장을 전달하는 등 탄핵 대비책 마련에 국힘이 하나된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침묵했던 대통령실도 최근 산업부의 동해 심해 유전 탐사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사실상 실패했다는 발언에 대해 추가 탐사를 해봐야 한다는 등 공개적인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 달 초에는 선고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7차, 8차 헌재 변론을 앞두고 윤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탄핵 반대 여론은 점점 거세질 전망이다.전한길 강사의 이번 주 토요일 광주 집회 개최와 발언 여부에 전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의 본거지이며 민주화의 성지라 불리는 광주에서 수만명이 모여 탄핵 반대를 외칠 시 그 파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