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역 집회에 이어 대구 동대구역을 찾은 한국사 전한길 강사의 메시지는 ‘일타강사’란 명성만큼이나 날카로웠고 울림이 컸다. 국회 다수를 차지 의회 독재를 펼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과 좌편향의 헌법재판소, 불법 영장 남발의 법원, 법치와 공정과 상식을 무너뜨린 공수처, 편파 보도 일삼는 언론 등에 대한 그의 뼈아픈 지적은 참석자들에겐 그동안 쌓였던 울분 해소를, 해당기관에겐 적잖은 자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집회는 지방에서 열린 탄핵반대 집회 규모로는 최대인 (경찰 추산) 5만2천여명이 참석, 1만3천여 명이 부산역 집회 열기를 그대로 이어 온 것이란 분석과 함께 향후 광주와 서울에서 이어질 집회에 대한 기대감마저 갖게 만들었다. 노사모 출신이었다고 밝힌 전 강사는 1시간이 넘는 연설 동안 자신의 이름을 연호하는 시민들에 대해 자신이 아닌 차디찬 구치소 수감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이름을 불러 달라고 수차례 당부했다. 그는 지난 12·3 비상계엄 직후 10%대의 대통령 지지율이 60여 일의 탄핵정국 속 마의 벽인 40%를 넘겼고 부산역 집회 후 50%, 이번 집회를 마치면 60%를 넘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것은 거대 야당의 입법 폭주와 29번의 불법 탄핵, 일방적 예산 삭감 등 행정부와 국가시스템을 마비, 대한민국을 침몰 위기로 몰아넣으려는 민주당이 내란죄의 주체 세력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진실보다 편파·왜곡 보도한 언론, 법치·상식·공정을 무너뜨린 공수처·서부지법·헌재 등의 실체를 2030이 먼저 알았고 국민마저 알게 돼 결국 비상계엄은 ‘계몽령’이 됐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제 주권자인 국민이 나서 윤 대통령의 석방과 직무 복귀를 이뤄내고 자식 세대에 법치와 공정, 상식이 존중받는 더 살기좋은 대한민국을 물려주자고 역설했다. 그는 “지난 26년간 한국사 수능 강의와 공무원시험 강사로서 살아오면서 아스팔트에서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한미동맹을 외쳐온 어르신들을 좀 삐딱하게 봐왔는데 어르신들이 옳았습니다”라며 공개 사과했다. 정당에 대한 말도 잊지 않았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 중 조기대선을 입에 올리는 자가 있는데 이는 “부모님이 멀쩡하게 살아계시는 데, 제사상 준비하는 후레자식”이라 비판하고 “대통령 탄핵 반대와 직무복귀에 한 목소리를 내달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의 간첩법 개정 반대와 자신에 대한 고발 건도 지적했다. 특히 선관위의 1200건의 채용 비리와 부정선거 의혹 지적에 민주당이 자신을 고발했고, 헌재의 불의한 재판관 지적에 민주당이 또 다시 고발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며 당명을 차라리 더불어고발당, 더불어독재당으로 개명하라고 꼬집었다. 우리법연구회 소속 법관이 이미 3명(문형배·이미선·정계선)인 헌재가 민주당과 협력, 마은혁 재판관 임명까지 추진하려 시도하는데 이는 특정 성향 법관들로 헌재를 채우려는 의도라며 즉각 멈추라고 주장했다. 이는 국가의 근본 규범이며, 최고의 권위를 가진 헌법을 헌재가 스스로 무너뜨리려는 작태라고 비판했다. 서울대·고려대·연세대·한양대 등 대학가를 포함한 2030 MZ세대들이 공수처 등 수사기관과 사법부, 언론 등의 불법·불의·불합리를 비판하며 들고 일어나기 시작했다. 거리로 나선 청년들과 국민의 요구는 단순하다. 위법·탈법·불법이 아닌 `법대로 심리하고, 헌법과 법률에 따라 심판하라`는 것이다. 이미 일부 여론조사를 통해 절반이 넘는 국민이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는 윤 대통령 당선 시보다 더 많은 국민이 그에 대한 탄핵을 반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 강사는 끝으로 국민 주권 국가에서 국민의 요구를 거절하는 것은 민주주의 원칙을 위배하는 것이라며, 헌재 재판관 중 탄핵 동조 세력은 대한민국 역사상 ‘제2의 을사 5적’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정한 법 적용을 요구하는 것’이 죄가 된다면 국민 모두는 언젠가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런 재판부를 국민 세금으로 존속시켜서 안 된다는 것은 전한길 강사뿐만이 아닌 국민 모두의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