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2월 2000명 의대증원 발표로 촉발된 의정갈등이 이달로 꼬박 1년이 됐지만, 해결의 실마리는커녕 양측 견해차만 큰 실정이다. 2026년 의대정원에 대한 논의도 되지 않는 모습에 환자들은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2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달 18일 비공개로 만난 뒤 의료계와 정부의 대화 진행이 더딘 상황이다. 김택우 회장은 25학번 선발에 따른 의대 교육 마스터플랜을 정부와의 대화 조건으로 내건 바 있다.사태 당사자인 전공의와 의대생도 대체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25학번이 대규모로 선발된 데 따라 의학교육은 파행이 예정됐다는 취지에서 2026학년도 의대 입시모집 정지를 요구 중이다.지난달 15~19일 진행된 사직 전공의(레지던트) 모집에서도 199명(사직 레지던트 9220명의 2.2%)만 복귀 의향을 밝혔다. 3~4일 인턴 모집이 예정돼 있지만, 의사 국가고시 합격자가 당초 3000여 명보다 크게 모자란 269명에 그쳐 인턴 지원자도 극소수로 전망된다.이달은 군 미필 사직 전공의의 입영이 통보되고, 2025학년도 대입 마무리에 따른 신입생 입학과 교육 등 각종 현안이 계획돼 있다. 정부도 의정갈등 해결이나, 2026학년도 의대정원 논의 시한을 2월 말로 제시했는데 의정 간 견해가 엇갈려 실현 가능성은 불투명하다.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규모를 제로베이스에서 대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이지만, 의대생 단체 등이 단 1명도 뽑아서는 안 되는 모집정지를 제시하는 등 간극이 크다. 이 과정에서 `의대생-신규 의사-전공의-전문의`로 이어지는 의사 양성체계가 흔들리는 모습이다.   좀처럼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자, 입학을 앞둔 25학번 의대 신입생들이나 학생 복귀만을 기다리고 있는 대학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 1년간 갈등을 지켜본 환자들은 체념했다는 반응이다.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환자들은 이번 사태에 적응할 수밖에 없었다. 진료 차질 등의 피해 보상은 물론 의료 정상화를 기대하기 힘들어 보인다. 앞으로는 환자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다만 안 대표는 "의대정원은 조정돼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사태의 직접적 원인이 의대증원에서 비롯된 만큼 2026년도 정원은 조정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정부의 2000명과 의료계의 0명에 차이가 큰 게 문제라고 안 대표는 꼬집었다.이어 "의대정원 원점 재검토 이외 의료계 요구는 정부가 대부분 받아들였다고 본다. 환자를 위한 정책의 입법이나 제도는 개선되지 않은 채 소외돼 있으니, 울화통 터지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환자들을 포함해 전공의, 의대생 등 당사자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사태 해결이 시급한 가운데 의협은 국회 등 사회 각계에 "의대정원 규모 결정은 정치 논리를 배제한 과학적인 근거만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의협은 오는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열 `의료 인력수급 추계 기구 법제화를 위한 공청회`에 참석해 자신들 주장을 펼칠 방침이다. 앞서 의협은 해당 기구의 독립성이 보장돼야 하고, 2026년도 의대정원 감원 조정을 위한 특례가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을 국회에 전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