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예천군을 포함한 경북 북부권 산사태에 따른 사상자 발생에 대해 감사원과 산림청의 발표가 다르다. 감사원은 산사태 13건, 사망자 26명이라는데, 산림청은 산사태 7건, 사망자 13명이라고 주장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산림청이 산사태 피해를 축소 보고한 것은, 산지 관리 실패 책임(관리 목적으로 만든 임도가 산사태의 원인)을 은폐하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산림청은 각 지자체에 공문을 통해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임도를 집중 점검하라’고 촉구하면서도 산사태의 원인이 임도가 아닌 집중호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렇듯 지난 산사태 관련 원인부터 명확히 규명돼 있지 않지만, 지자체는 인명과 재산 손실을 막기 위해 대책을 마련할 수밖에 없다. 경북도는 지난해와 같은 인명 피해를 다시 겪지 않기 위해 올해 1월부터 재난부서와 마을 이장, 전문가와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해 경북 재난 특징을 분석해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을 구축했다.지난해 재난은 새벽 2~5시 취약 시간대 주로 발생했고, 산사태 비취약 지역에서 90% 이상 발생하는 특징을 보여줬다.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경북도는 사전대피만이 주민 자신을 지키는 유일한 방안이라 판단해 △12시간 사전예보제 △마을순찰대 △1마을 1대피소 △주민대피협의체를 구성해 민관이 협력하는 주민중심형 재난대응 모델인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만들었다.올 한해 여름 장마철과 태풍, 호우에 대비해 19차례에 걸쳐 마을순찰대 3만592명을 가동하고 14차례 5530명의 주민을 대피시켜 인명피해 제로의 성과를 달성했다.경북도는 올해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매뉴얼을 제도화, 12시간 예측 시스템 고도화, 마을순찰대 역량 강화 등으로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안정화,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자연재해를 대비, 전국 최초로 위기관리센터를 신설한 경북도의 위기 대응 노력이 올 한해 안전이란 뚜렷한 성과로 나타났다. 도 분석 결과, 재난 발생 시 구조 적기가 10~20분 내외라고 한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면 깨어 살피는 매의 눈이 필요하다. 위기 지역 도민의 안전이 공무원들의 손에 달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