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ㆍ최종태기자]도민의 동의없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안동시(시장 권기창)와 예천군(군수 김학동)은 18일 안동시청 대동관 앞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북부권 설명회에 앞서 한목소리로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권기창 안동시장과 김학동 군수는 성명서를 통해 중앙 권한 이양이라는 명분으로 도민을 기만하는 행정통합 반대, 덩치만 키우면 저출생·지방소멸이 해결된다는 졸속 행정통합 반대, 허울뿐인 북부권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계획 반대를 외쳤다.두 단체장은 “행정통합이 진행되면 경북 북부권 소멸은 가속화될 것이며, 경북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경북 22개 시·군의 공멸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어 “대구경북이 통합할 시 오히려 기초자치단체의 권한이 광역자치단체로 흡수돼 지방자치가 오히려 저해될 수 있고, 통합청사가 대구로 갈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 본 청사가 없는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것은 허무맹랑한 비전이다”며 강력히 비판했다.또 “도청 이전이 아직 10년도 지나지 않았는데 주민의 의견 수렴도 제대로 하지 않은 행정통합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 “앞으로 경북지역 시군의 뜻을 모아 반드시 무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이날 안동시장, 예천군수의 공동 성명에 이어 김경도 안동시의회 의장과 강영구 예천군의회 의장도 공동으로 성명을 냈다.양 시·군 의장은 “경북‧대구 행정통합은 절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해법이 될 수 없다”며, “도민의 동의 없는 행정통합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대구‧경북 통합반대 포항시의원들 가세대구‧경북 통합반대에 포항시의원들까지 가세하고 나섰다.김성조 포항시의원은 18일 제319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대구시, 경북도, 행안부, 지방시대위원회 4대 기관의 합의를 이끌어 내면서 그동안 경북 시군에 협의도 거치지 않고 밀실에서 졸속으로 추진됐다”며 “경북도 중 최고 중심도시가 포항이다. 국책사업 및 예산 지원 등 포항시 단독으로 해도 경북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통합 후 대구가 중심권이 되면 포항 도시발전 중심이 균형을 잃어버리고 포항시에 모든 국책사업 추진에도 블랙홀에 빠지게 된다.”고 주장했다.김은주 포항시의원은 “시도민의 의견 수렴 절차 없이 통합 시한까지 못 박아 일방적으로 강행해 추진하는 것은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며 “대구경북 통합 논의에서 경북 22개 시군은 배제됨으로써 자치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또한 “2012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경북도청을 북부권으로 이전한 지 10년이 조금 지난 지금 대구시와 다시 통합하겠다는 것은 경북 북부권을 포함해 경북 지역의 균형 발전이라는 명분도 동시에 상실할 수밖에 없다”면서 “무엇보다 대구경북 통합 논의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강행 추진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