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광역지자체 간 행정통합에 대해 반발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역 소외를 우려한 도내 북부지역 중심의 반발도 적지 않고, 야당을 비롯한 정치권,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대 집회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구시와 경북도는 최근 들어 지역을 권역별로 나눠 돌며 지자체 중심의 설명회 개최와 시민·사회단체 방문을 통해 행정통합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최초의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논의는 지난 2019년 12월 첫 추진, 2022년 7월 대구·경북행정통합(이하 대경행정통합) 완성을 목표로 진행됐다. 그러다 2022년 홍준표 대구시장 체제가 들어서면서 모든 것이 원점으로 되돌아갔다. 홍 시장은 2020년 21대 국회의원(무소속, 수성을)일 때도 대경행정통합을 반대했다. 2024년 5월 홍 시장 주도로 또 다시 대경행정통합이 추진됐고, 한달 후인 6월 정부와 본격 논의까지 진행됐다. 그러다가 지난 8월 통합안 세부내용 갈등 등을 이유로 홍 시장이 돌연 ‘장기 과제’로 전환시키면서 중단됐다. 이후 경북도의 노력과 행안부의 중재로 10여일 만에 통합 논의가 속개, 지금껏 통합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나타난 것이 지역별 반발이다. 홍 시장 주도로 행정통합이 급속히 추진되면서 주민설명회 등 홍보 절차가 생략된 것이다. 지난 8~9월까지만 해도 ‘지역민은 물론 지자체장도 모르는 통합’이란 조롱 섞인 말이 나올 정도로 도내 지자체들은 속앓이를 해야 했다. 최근 지자체장은 물론 지역민들이 계속된 반발 의사를 표명하자 생겨난 것이 지역 순회 설명회다. 현재 부산·경남, 광주·전남, 대전·충남·충북·세종까지도 광역지자체 간 행정통합 대열에 합류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와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까지도 ‘특별자치도’ 비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기존 광역지자체 지위를 넘어 특별한 지위를 확보하려는 ‘초광역화 전략’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부산·경남은 지난 8일 경남도청에서 40여 명의 공론화위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지난 4월부터 부산·경남연구원의 공동연구를 통해 마련한 ‘통합 구상안 초안’을 발표했다. 공론화위원회는 이달부터 내년 12월까지 권역별 토론회와 전문가 토론, 여론조사를 주관한다. 이들은 향후 행정통합에 대한 홍보와 권역별 토론회 개최 등을 통해 시·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은 물론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지식을 활용, 부산·경남 행정통합 기본구상 최종안을 마련하고 공개할 예정이다. 이날 양 시도지사는 여론수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상향식 통합’ 의지를 재확인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단순한 통합은 의미가 없으며, 통합의 청사진과 내용을 정확하게 도민과 시민에게 제시하고 시·도민이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경남과 부산의 책임”이라며 “경남과 부산을 완전한 자치권을 가진 ‘대한민국의 경제수도’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시·도민의 의사를 반영한 상향식 통합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박형준 부산시장은 “실질적인 권한을 특별법에 잘 담아내 관철시키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 중심에 시·도민이 똘똘 뭉쳐 힘을 합쳐야 한다”며 “오늘 출범한 공론화위원회가 시·도민의 의견을 수렴해 이번 행정통합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큰 역할을 기대하겠다”고 말했다.대경행정통합도 주민이 주인인 지방자치제도의 실천 방안의 하나다. 주민이 알지도 못하고, 동의하지도 않는 방식의 행정은 진정한 지방자치라 할 수 없다. 이번 대경행정통합에 대한 지자체 및 지역민들의 반발은 ‘바텀업’이 아닌 ‘탑다운’ 방식을 채택하면서 생겨난 일이다. 급하다고 바늘을 허리에 매어 쓸 수 없듯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진솔한 설명을 통해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또 부득불 불이익을 받을 지역과 지역민이 생겨난다면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지역민을 설득해야 한다. 지역민을 위한다는 지방자치가 지역민을 잡아서야 되겠는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