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지향 등 지방 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와 경북이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승부수를 띄웠다. “다시 한뿌리로”란 구호처럼 대구·경북이 하나의 행정기관으로 합쳐 제대로 된 지방자치를 담당할 지방정부를 이뤄보자는 것이다. 수많은 우여곡절을 거친 가운데 지난 21일 중앙정부 주도 아래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이철우 경북지사, 홍준표 대구시장이 모여 대구경북 통합관련 합의문에 서명했다. 그 동안 논란이 됐던 사안들을 하나둘 합의를 거쳐 일단락시켰다. 동부청사(포항) 활용, 시·군권한 갈등, 경북 북부지역 발전 대책 등이 그것이다. 이제 대구와 경북이 최종 합의문에 사인하면서 TK통합은 8부 능선을 넘었다. 내년 6월 대구경북 통합 법안의 국회 통과를 목표로 사전 정부 의결과 광역 시도의회 통과가 이뤄져야 한다. 이후 국회 법안 통과가 이뤄지면 1년의 준비기간을 거치게 되고, 2026년 6월 지방선거 한달 후인 7월 대구·경북의 새로운 지방정부가 공식 출범하게 되는 것이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은 홍 시장의 표현대로 “100년만에 이뤄지는 행정개혁”이며, 지방시대 새로운 모델로 대구·경북의 생산 발전과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의 핵심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그간 대구·경북은 통합신공항 이전과 군위군의 대구 편입, 대구시의 취수원 이전 등을 두고서 많은 갈등을 빚어 왔다. 그 외에도 대구 염색공단의 군위군 이전 추진, 군부대 이전 문제 등 굵직굵직한 문제는 물론 잔잔한 문제까지 해결해야 할 것이 하나둘이 아니다. 갈등이 확대되면서 지역민들은 물론 공무원들 간의 갈등으로 증폭, 상생과 협력마저 어려울 듯이 보인 적도 있다. 행정통합이 이뤄지면 한 지방정부 아래 앞서 벌어졌던 지역간 갈등과 분열 양상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 완전히 처리되지 않은 문제들로 인한 갈등의 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1년의 준비과정과 통합 행정기관장의 역량 발휘를 통해 합리적으로 처리되길 기대한다. 특히 ‘구미와 선산의 통합’, ‘대구와 군위의 통합’ 등을 살펴볼 때 대구가 얻게 될 수혜와 달리 경북 군지역과 오지가 받게될 상대적 박탈감은 사전 해소될 수 있도록 철저하고도 명확한 대책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 대구시의회에 비해 경북도의회가 크게 반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고을 원님이 누구든 백성은 알바없지만, 잘못된 정책 시행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선 백성들도 참기 어렵다.’ 국민을 편하게 해 주는 것이 “정치”인 만큼 특정 지역에서의 서운함과 섭섭함, 불만들이 생겨나지 않도록 더 많은 고민과 숙고가 이뤄진 대구경북 통합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지길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