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의료 대란이 9개월째 접어들며 24시간 제한 없이 소아진료가 가능한 응급의료기관은 전체의 8.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의료기관의 소아응급환자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410개 응급의료기관 중 시간·연령·증상 제한 없이 24시간 소아 진료가 가능한 응급의료기관은 전국에 단 35개, 8.5%뿐 것으로 나타났다.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 8개소, 종합병원 20개소, 병원 5개소, 보건의료원 2개소였다. 응급의료센터별로 보면 권역응급의료센터 10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13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12개소였는데 이 중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3개소도 포함됐다.410개 응급의료기관 중 54개소는 24시간 내내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불가능해 환자를 아예 수용할 수 없다고 보고했다.응급의료기관 410개소 중 78.3%인 321개소 의료기관은 시간·연령·증상에 따라 제한적으로 소아 응급 진료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각 응급의료기관이 기재한 진료 불가능한 소아 연령대 중 신생아 진료가 불가하다고 답변한 응급의료기관은 11개소였다. 100일 미만 영아 진료 불가한 기관은 3개소, 12개월 미만 영아 진료 불가한 기관 60개소, 24개월 미만 영아 진료 불가한 기관 68개소, 36개월 미만 영아 진료 불가한 기관이 19개소로 영유아 응급진료가 어렵다고 기재한 의료기관이 161개소에 달했다.평일 진료 시간에만 응급실 진료가 가능하다고 답변한 응급의료기관도 148개소에 달했다. 일부 응급의료기관은 경증, 단순 복통 등의 환자만 수용 가능한 곳도 있었다. 이는 응급의료기관 대부분이 배후 진료 영역 의사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됐다.응급실 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있는 응급의료기관도 부족했다. 410개 의료기관 중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응급실 전담 의사로 근무하고 있는 응급의료기관은 76개소에 불과했다. 소아응급진료가 가능한 응급전체 응급의료기관 5곳 중 1곳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없는 셈이다.보건복지부는 실시간으로 응급의료기관 상황을 공유하기 위해 응급의료 종합상황판 웹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410개소 중 24시간 내내 연령·증상 제한 없이 진료할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은 35개소였지만, 나머지 375개 의료기관 중 151개소는 소아응급진료 제공이 불가한 상황에 대해 종합상황판에 고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전진숙 의원은 "장기화한 의료대란 여파로 소아응급환자들의 응급실 뺑뺑이가 더 심해졌는데 정부는 응급의료 상황이 예년과 비슷하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 정부는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의료계와 신뢰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