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이 쟁점사항에 타협점(妥協點)을 찾으면서 본 궤도에 올라 관심과 주목을 끌고 있다.대구시와 경북도, 행정안전부,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난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재안에 대한 5차 회의를 열고 합의문을 협의했다.이에 따라 10월 21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모여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특히 행정통합은 홍 시장이 지난 8월 논의를 중단하고 장기 과제로 돌리겠다고 선언한 이후 사실상 무산 위기를 맞았으나, 행안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지난 11일 시도가 이견을 보인 쟁점 사항에 대한 중재안을 제시해 다시 급물살을 탔다.                                                  더욱이 행안부가 제시한 중재안에 따르면 행정통합으로 대구광역시와 경북도는 폐지되고, 수도권에 상당하는 위상을 가진 ‘대구경북특별시’가 새로 탄생하게 된다. 또한 그동안 통합의 걸림돌이 됐던 통합자치구의 청사도 현재 대구시 청사와 경북도의 안동 청사 외에 포항 청사를 활용키로 했다고 한다. 아울러 통합 시·군의 권한은 현재의 수준을 유지키로 하고, 각 청사의 구체적 활용과 관할구역은 시·도의회와 주민의 의견을 따르기로 했다.   한편 행안부가 제시한 `대구경북특별시`의 위상은 서울시와 양대 축을 이룰 수 있을 만큼의 거대한 자치단체이다. 우선 법적인 지위가 서울특별시에 준하게 될 것이고, 정부는 권한과 사무, 재정 등을 현재 서울시 수준으로 이양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 시·도가 통합하게 되면 오는 2045년까지 지역내총생산(GRDP)이 1천 512조원, 인구는 현재 491만명에서 1천205만명으로 서울 인구의 1.4배, 일자리 773만개 등 기대효과가 크게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지방소멸 시대를 맞아 불가피한 생존전략(生存戰略)이 아닐수 없다. 특히 경북은 22개 시·군 중 15개 지역이 인구소멸(人口消滅)지역이며, 최근 10년의 성장률(成長率)이 1.2%로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에서 3번째이다. 또한 인구가 급감(急減)하기로는 대구시도 마찬가지이다. 대구시는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31년째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한편 현 상태가 계속된다면 대구시나 경북도 모두가 경제적 어려움은 물론이고 지방소멸 고위험군에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 TK 통합에 모든 걸림돌이 완전히 제거된 것은 아니다. 또한 청사별 관할구역 등 사소한 문제가 아직도 미정인 채 남아 있다. 이제 정부가 행정통합을 적극 지원키로 한 만큼, 대구시와 경북도도 미래의 안목에서 쟁점사항(爭點事項)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협의를 통해 행정통합에 더욱 속도를 내기를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