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은 날씨 이외에도 전기요금 인상과 난방비 폭탄 우려로 더욱 추운 겨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의 끊임 없는 전기요금 현실화 요구와 인상된 가스비가 올 겨울 적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국가 에너지 정책을 총괄해야 할 정부는 물론 기업과 가정의 더욱 철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 수 없다. 전기요금 인상은 이미 오래전부터 예고된 바다. 한전의 전기요금은 지난 2013년 11월부터 윤석열 정부 출범 이전까지 동결됐다. 전기요금 정상화는 또 다른 폭탄 돌리기였다. 9년 동안 올리지 못했던 전기요금을 윤석열 정부가 나서 정상화하려니 진통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전기요금은 총 6번 올랐다. 주택용 전기요금은 5번에 걸쳐 총 40.4원(㎾h)이 올랐고 인상률은 39.6%다. 이마저도 2023년 5월 이후 전기요금 인상은 멈춰섰다.공공요금 인상이 안정세를 찾은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칠까 우려해서다. 이러한 노력 때문인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개월 만에 가장 낮은 2.0%를 기록했다.국민들도 이젠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제일 싼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안다. 다만 에너지 절약이 몸에 체득, 생활화 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을 활짝 열어제쳐놓고 냉·온방기기를 작동시키는 매장들의 각성이 필요하다. 그동안 값싼 산업용 전기로 인해 구미시를 비롯한 일부 국내 지자체들은 일본의 대기업 유치라는 성과를 이뤄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들이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일본을 떠나 온 것이다. 정부도 이젠 에너지 사용 규제와 절약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더욱 값싼 전기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정책 추진에 역점을 둬야 한다. 유럽이 추진하는 탈원전 반대 정책과 같이 계속적인 국내 원전 건설은 물론 이전 정권들이 외면했던 송전선로 확충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동해안 원전이 생산한 저가의 전기를 송전선로가 구축 안 돼 활용할 수 없다면 거액의 돈을 갖고서도 식당 앞에서 굶어 죽은 거지와 다를 바 없다. 다만 2023년 제10차 송·변전설비계획에서 밝힌 2036년까지 56조5천억원 투자를, 한전이 202조9천억원(2분기 기준)의 부채를 안고 있으면서 감당할 수 있냐는 점이다. 따라서 정부는 한전의 요구대로 주민수용성이 약한 송전선로 확장에만 나설 것이 아니라 2023년 6월 통과되고 지난 6월 시행에 들어간 ‘분산에너지특별법’(지역별 전기요금 차등 적용)의 실제 적용 시점을 2026년보다 앞당겨야 한다. 분산에너지특별법이 실제 시행이 이뤄지면 일본 대기업이 한국을 찾아 오듯 국내 반도체, 이차전지, AI데이터센터 등 에너지 소모가 큰 기업 사업장 이전 또는 공장 확충이 경북 등 전력생산지를 중심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블랙아웃의 위험성도 줄어수 있다. 경북은 전국 17개 시·도 중 2023년 기준 전력생산량(9만4천656GWh) 2위, 전력자립도(215.6%) 전국 1위다. 경주와 울진 지역 원전 건설로 인한 것으로 분산에너지특별법 시행에 따라 전기요금 인하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에너지 확보가 국운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하는 만큼 전력자립도 1위 경북, 도약을 준비할 때가 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전화] 070-7198-8884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