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특별시가 어쩐지 가물가물해 보인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을 처음 외칠때는 금방이라도 실현될 것처럼 보였는데, 막상 실무적인 절차에 들어가니 엉뚱한 목소리가 양쪽에서 터져 나온다. 현재로서는 실패할 가능성마저 보인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통합 접근법이 크게 다른 데다 청사위치, 주민동의 등 절차상 문제점도 새삼 터져 나오고 있다. 이런 상태라면 차기 지방선거인 2026년 하반기에 TK특별시 출발은 불가능해 보인다. 대구시·경북도가 제시한 통합 특별법안을 종합해보면 양측은 이 사안을 바라보는 개념부터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는 대구 중심으로 경북을 흡수하겠다는 취지가 강하고, 경북도는 경북 주도로 대구시를 재편입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궁극적으로 통합특별시, 즉 통합지방정부의 수도 소재지와 연관되기 때문이다. 이렇게해서는 통합자체도 어려울뿐만 아니라 TK특별시는 아예 꿈도 꾸지 못한다. 대구, 경북 양쪽이 서로 주도권을 잡으려는 한 통합은 어려워 보인다. 통합의 주체를 놓고 홍 시장은 당연히 대구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고, 이 도지사는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따지고 보면 가장 핵심 변수임이 분명한데도 합의를 뒤로 미룬 점이 패착이다. 처음부터 이 문제를 논의하고 정면 돌파했어야 했다. 통합에 대한 시·도민 열망이 미흡한 점도 요인이다. 대구경북은 1981년 대구시가 광역시로 독립하면서 분리됐다. 경북도청은 수십 년 동안 대구에 머물다 2016년 2월 안동·예천으로 이전했다. 도청 이전 8년 만에 다시 합친다는 것에 쉽게 동의할 수 없는 것도 이 지사의 솔직한 심정이다. 이 지사로서는 대구에 주도권을 뺏기고 싶지도 않을뿐더러 경북이 대구를 안아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결국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고서는 이 문제가 쉽사리 풀리기 어렵다고 본다. 이번 통합 논의로 인해 얻은 것도 있다. 먼저 대구·경북이 협치해 초광역 경제권을 형성하고, 대한민국 근대사의 주축이었던 영광을 되찾자는 취지는 누가봐도 공감하는 부분이다. 중앙정부 권한을 지방시대에 걸맞게 지방자치정부로 광범위하게 이양받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국세의 지방세화, 그린벨트를 비롯한 중요 정책의 권한 등이 대표적이다. 대구경북 전체를 하나의 관할권으로 놓고 북부권, 서부권, 동부권, 대구권별로 미래 발전전략을 제시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통합논의 과정에서 나온 여러 문제들은 차차 풀어나가면 된다. 양쪽모두 TK의 미래 발전을 위한다는 큰 틀에서 접근해주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