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백지화됐던 영덕의 천지원전 1·2호기 부지가 윤석열 정부의 친(親)원전 정책에 따른 대체부지로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그 당시 영덕주민들의 정서는 깡그리 무시하고 이제와서 또다시 원전부지로 추진하려는 정부의 의도는 뭔가. 천지원전으로 주민들간에 패가 갈리고 찬반투표로 원전 수용으로 가결되자 반대하던 주민들도 맘을 고쳐먹고 정부의 뜻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들어 원전이 백지화되고 지원됐던 선수금마저 빼앗아가는 횡포를 부렸다. 이제와서 다시 원전을 추진하는 것은 주민들을 두 번 죽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정부는 신규 원전 3기 건설 계획에 따라 문재인 정부에서 백지화됐던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를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곳 중에서도 영덕 천지원전 1·2호기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보다 재추진하기가 쉽다. 산업자원부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전력수급 전망과 발전원 확충 계획(2024~2038)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8년까지 1.4GW(기가와트)급 대형 원전 3기의 신규 원자력발전 시설을 건설하고 2035년부터는 발전설비 중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처음 투입한다고 한다. 대형 원전의 경우 부지 확보 등에 시간이 걸려 최종 준공까지 대략 14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올해 신규 원전을 위한 부지 확보와 주민 설득에 나선다 하더라도 오는 2037년 이후에나 신규 원전을 가동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정부 입장에서는 신규 원전건설 부지를 새로 물색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알 것이다. 해당지역 주민의 민원이 가장 큰 걸림돌이기 때문에 정부도 기존에 추진하던 영덕 천지 1·2호기 부지를 신규원전 제 1후보지로 낙점하고 있다. 하지만 재추진을 하려면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영덕군민들을 어떻게 달래고 설득하느냐에 달렸다. 엉망징창이 된 영덕주민들의 정서부터 달래주는 일이 먼저다. 그렇지 않고는 재추진을 하기 어렵다. 정부는 무엇보다 재추진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김광열 영덕군수를 비롯 영덕 천지 1·2호기 예정부지에 포함됐던 노물, 경정 등 지역주민들부터 달래고 설득하는 일이다. 그렇지 않고는 한 갈음도 진척이 어려울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전화] 070-7198-8884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