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동구기자]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백지화됐던 영덕의 천지원전 1·2호기 부지가 윤석열 정부의 친(親)원전 정책에 따른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신규 원전건설 부지를 새로 찾는다는 것은 해당지역의 민원이 가장 큰 걸림돌로 정부에서도 기존에 추진하던 영덕 천지 1·2호기 부지를 제 1후보지로 낙점하고 있다. 하지만 재추진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영덕군민들을 정부가 어떻게 설득하느냐에 따라 재추진 여부가 판가름 날 전망이다. 이 때문에 현재로서는 쉽게 낙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신규 원전 3기 건설 계획에 따라 영덕 천지원전 1·2호기 부지를 우선 검토 대상지역으로 잡아놓은 것으로 알려졌다.13일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전력수급 전망과 발전원 확충 계획(2024~2038)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8년까지 1.4GW(기가와트)급 대형 원전 3기의 신규 원자력발전 시설을 건설하고 2035년부터는 발전설비 중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처음 투입한다는 것.대형 원전의 경우 부지 확보 등에 시간이 걸려 최종 준공까지 대략 14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올해 신규 원전을 위한 부지 확보와 주민 설득에 나선다 하더라도 2037년 이후에나 신규 원전을 가동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따라서 문재인 정부에서 백지화된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가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주민 수용성 문제와 함께 보상금 지급 등 사업 진척도가 훨씬 앞선 천지원전이 우선 검토 대상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170㎿(메가와트·1000㎿=1GW)급 소형 모듈 4개를 차례로 짓는 SMR도 충남 당진·태안, 경남 삼천포·하동 등 탄소 중립을 위해 단계적으로 가동을 중단하는 석탄화력발전 단지에 건설될 가능성이 크다.한편 김광열 영덕군수를 비롯 영덕 천지 1·2호기 예정부지에 포함됐던 노물, 경정 등 지역주민들은 천지원전 재추진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향후 정부의 설득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전화] 070-7198-8884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