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총 10조원 규모의 가덕도신공항의 `공항부지 건설 입찰`에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단 한 곳도 응찰하지 않아 충격을 주고 있다. 오는 2030년 부산 엑스포에 앞서 2029년 조기 개항하겠다며 공사 일정을 무리하게 앞당긴 가덕도 신공항이 첫 걸음부터 순조롭지 않다. 지난 5일 마감된 활주로·방파제 등 공항 부지 조성 공사 입찰에 국내 대형 건설업체가 단 한 곳도 응찰하지 않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0조5300억원 규모의 초대형 공사를 건설사들이 외면하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무리한 공기 일정과 난공사에 따른 위험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건설사들이 외면한 것으로 보인다. TK 신공항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대형건설업체들이 선뜻 덤비지 않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생각보다 리스크부담이 크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덕도 신공항은 애초 2035년 개항으로 추진되다 부산 엑스포 유치전 과정에서 2029년 12월로 일정이 5년 이상 앞당겨졌다. 인천공항의 경우 1단계 건설에만 9년이 걸렸다. 국토부는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해 공항 전체를 해상에 지으려던 계획을 수정, 산을 깎아 육·해상에 걸쳐 짓는 것으로 변경하기도 했다. 지반이 불균등하게 내려앉는 부등 침하 가능성 탓에 계획 검토 단계에서 배제됐던 방식을 되살린 것이다. 모든 것이 상식이하다. 가덕도 신공항 계획은 처음 등장할 때부터 정치 포퓰리즘의 산물이었다. 2016년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작업을 했던 프랑스 전문 기업은 “태풍·해일에 취약하고 바다를 메워야 해 지반까지 약하다”면서 가덕도 공항 후보지에 대해 안전성·경제성 모두 낙제점을 주었다. 그래서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났지만, 부산시장 보궐 선거를 앞두고 문재인 정권이 선거용 카드로 꺼내들었고, 표를 의식한 국민의힘도 동조하면서 지금까지 왔다. 공항으로 적합하지 않는 곳에 무리하게 공항을 지으려다 보니 예비 타당성 조사나 사업비 추산 과정을 모조리 생략한 채 ‘무조건 지으라’는 특별법까지 만들었다. 각 당의 대선·총선 공약으로 대못이 박힌 가덕도 신공항은 부산 엑스포 변수로 완공 시점까지 5년 앞당겨졌다. 이런 와중에 부산 엑스포 유치도 실패했고 빨리 완공해야 할 이유가 사라진 셈이다. 부산·울산·경남 지역민 대상의 한 여론조사에선 54%가 ‘가덕도 특별법’에 대해 ‘잘못된 일’이라고 답했다. 지역민들도 문제점을 알고 있다는 뜻이다. 가덕도 신공항 문제를 남의 일인듯 구경해서 안된다. TK는 당장 TK신공항 건설이 발등의 불이다. 가덕신공항을 교훈삼아 TK신공항만큼은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