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가 올해 전력수급 기본계획 실무안에서 2038년까지 신규 원전 3기, 소형모듈원전(SMR) 1기를 건설하는 ‘11차 전력수급 계획안’을 공개했다. 확정되면 2015년 이후 9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이 이뤄진다. 정부의 이같은 원전 프로젝트는 원전 집적도시 경북엔 듣던 중 반가운 소식이다. 세계 주요국들도 앞다투어 신규 원전 건설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백악관에 ‘원자력 프로젝트 관리 워킹그룹’을 만들어 원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내년부터 원전 투자에도 태양광·풍력 같은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프랑스는 2040년까지 원자로 14기를 추가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했고, 영국도 2050년까지 원전 9기를 추가 건설하기로 했다. 2011년 대지진 이후 원자력 발전을 축소해 가던 일본도 2030년까지 원전 비율을 20~22%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이처럼 전 세계가 신규 원전 건설에 나서고 있는 마당에 우리나라만 우물안 개구리처럼 집안싸움만 하고 있다. 새로 출발하는 22대 국회는 여야가 합의했다가 특검법 정쟁 탓에 폐기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특별법’부터 빨리 제정해 K원전을 부활시켜야 한다. 우리는 태양광·풍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여건이 다른 나라보다 열악하다. 그러나 관련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 산업도 세계 추세에 뒤처지지 않게 키워 원전과 함께 장기적으로 에너지 두 방향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특히 경북은 K원전 선두주자다. 울진과 경주에 원전 클러스터를 조성해 미래 먹거리 산업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AI(인공지능) 혁명이 예상보다 빨리 도래하면서 안정적인 전력 확보는 시급한 국가 과제가 됐다. 그런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세계 빅테크 기업들은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납품 기업에 100% 무탄소 전기를 사용하도록 요구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방침이 현실화되면 우리 산업에 큰 충격이 올 수밖에 없다. 온실 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대량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은 현실적으로 원전뿐이다. 특히 세계 최대 규모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안정적 전력을 공급하려면 원전 추가 건설 외에 다른 해답이 없다. 원전 신규 건설은 UAE 원전 수출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인정받는 K원전 산업 생태계를 발전시키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경북은 K원전을 이끄는 선봉장으로 그 역할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