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카메룬 다이아몬드`로 패닉에 빠졌다.
CNK인터내셔널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개발권에 대한 보도자료 배포를 주도, 주가조작 의혹을 받는 김은석 에너지자원 대사의 친인척이 이 업체에 거액의 주식투자를 한 것이 17일 알려지면서 외교부가 발칵 뒤집힌 것이다.
특히 외교부 고위공무원의 연루설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다 연루설의 당사자가 김 대사라는 점에서 더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그동안 외교부가 CNK의 주가급등을 부른 두 건의 보도자료를 냈고 이 과정에서 일부 인사가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이 있었고 외교부 차관 출신의 조중표 전 국무조정실장, 방송사 간부 등의 이름도 거론됐었지만 이들은 모두 외교부 현직 직원은 아니었다.
김 대사가 친인척의 주식 매입은 보도자료 배포 이전에 자신과 무관하게 이뤄진 일이라고 해명하고 있지만, 외교부는 "감사원 감사결과를 봐야 한다"며 냉랭한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나아가 외교부 내에서는 김 대사 외에 다른 직원도 연루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외교부 자체감사에서 다른 연루 직원은 없는 것으로 나왔지만, 이번 김 대사건처럼 외교부 담당자도 파악하지 못한 사례가 더 있는 것 아니냐는 이유에서다.
특히 자체 감사에서는 금융거래 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이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외교부가 감사원의 감사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도 이런 차원이다. CNK의혹이 제기되자 외교부와 국회는 지난해 각각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으며 이달말께 감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외교부에서는 감사에서 추가적인 연루사실이 드러나면 2010년 특채파동 이후 벌인 환골탈태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채 파동보다 더한 `카메룬 쓰나미`가 외교부를 휩쓸고 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채 파동 이후 취임, `공정의 외교부`를 기치로 외교부 개혁을 추진해온 김성환 장관도 김 대사 문제가 불거지면서 난감하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 대사의 친인척과 같이 거액을 투자한 직원이나 직원의 친인척은 없을 것이라는 게 외교부 내 전반적인 분위기다. 평소 주식투자를 해온 극소수의 직원이 CNK의 주식도 매입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지만 외교부 차원의 조직적인 연루는 없을 것이란 판단인 셈이다.
외교부 안팎에서 CNK 의혹에 대한 설왕설래가 계속되다 보니 일각에서는 "차라리 감사원 감사결과가 나와 빨리 털어버렸으면 좋겠다"(당국자)는 말도 들린다. 또 일부에서는 "카메룬에서 빨리 다이아몬드가 나오는 게 그나마 살 길"이란 자조 섞인 발언도 들린다.
앞서 외교부는 2010년 12월 CNK가 "매장량이 최소 4억2천만 캐럿에 달하는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으며 이를 계기로 이 업체 주가는 10여일만에 3천여원에서 1만8천원대로 5배가량 급등했다.
외교부는 또 "매장량이 과장됐다"는 의혹 제기 등으로 이 업체의 주가가 하락했던 지난해 6월 다시 "매장량은 카메룬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냈고, 이 업체 주가는 다시 상승했다.
이런 주가 급등 과정에서 조 전 국무총리실 실장은 본인과 부인, 자녀 명의로 이 업체 주식을 샀다가 팔아 수억대의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야권은 정권 실세로 불리던 박영준 당시 지식경제부 차관이 주가 조작의 배후라고 주장하기도 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