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국전력의 산업용 전기요 전기요금 인상안이 가시화되면서 철강업계는 신년벽두부터 제조원가 상승이라는 고민을 떠안게 됐다.
신년 초 전기요금 인상은 이미 지난 8월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당시 예고됐던 상황으로 인상 폭 또한 지난 8월 당시 6% 인상률에 근접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3000㎾이상 전기를 사용하는 기업들은 내년 1~2월 7주 동안 최대 10%까지 전기사용량을 의무 감축해야 하는 정부의 ‘동계 전력수급 및 에너지 절약대책’에 따라 공장 가동률 하락이라는 악재까지 겹쳐 계사(癸巳)년을 맞이하는 철강업계의 마음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는 “전기요금 1% 인상은 철강업계 전반에 400억원의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는 것”이라 밝히며 “제조원가의 약 4.6% 수준인 전기료가 지난 8월에 이어 신년 초 다시 6% 선의 인상이 된다면 불과 5~6개월 만에 2400억원의 제조원가 상승을 가져 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최근 들어 세 차례 인상(2011년 8월, 12월, 올해 8월)된 전기요금으로 철강업계는 최소 8000억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들어갔다”고 추산했다.
정작 더 큰 문제는 철강업체들의 이 같은 절박함과는 달리 차기 정부의 에너지정책의 기본골격이 산업용 전기요금의 현실화, 즉 요금인상에 있다는 것이다.
즉 산업용 전기요금의 인상을 통해 연간 약 7조원 이상의 전기요금을 확보하고, 이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빈민층에 지원하고 태양광ㆍ풍력 등 대체에너지산업 육성에 나선다는 것이다.
결국 내년 초 1회성 인상이 아닌 차기 정부에서도 지속적인 산업용 전기요금의 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철강업계의 원가구조에 전기요금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제조원가의 상승이라는 고정비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신년 초부터 전기요금 인상과 공장 가동률 하락 등 원가상승 요인만 즐비해 점점 골이 깊어지는 철강경기 침체의 파고를 견뎌낼 지 걱정이다”며 “전기료 인상은 결국 대외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업계의 수익구조에 치명적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