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군수 김항곤)은 태풍 ‘산바’로 인한 성주읍 침수원인을 ‘인재’라고 주장하는 침수피해지역 대책위의 주장에 대해 22일 군의 입장을 표명했다. 성주군은 강우기록상 이번 ‘산바’ 만큼 짧은 기간에 많은 강우량(시간당 70mm)이 내리기는 처음이며, 2002년 태풍 ‘루사’ 때에는 4일간 누적 강우량이 226mm으로 금수면 최대시우량이 44mm였던 데 비해 이번 태풍은 2일간 누적강우량이 297mm이었고, 특히 9월 17일 오전에 200mm정도가 내렸으며 대가면 최대시우량이 70mm였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군은 성주읍 빗물배수펌프장은 설계빈도가 20년으로 최대시우량 49mm까지만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어 이번 침수는 배수펌프장의 문제가 아니고 지방 2급 하천인 ‘이천’과 인접한 소하천 ‘예산천’이 범람하면서 발생도 됐기 때문에 배수펌프시설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천재’라고 주장했다. 배수펌프장 가동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민들의 의견에 대해서 성주군은 배수펌프장은 정상 가동됐고 예산천 범람으로 펌프가동시 펌프장 내 수위상승으로 인해 전기모터에 물이 들어갈 우려가 있어 3천300V의 고압의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및 파손우려가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1시간 14분동안 펌프를 중단시킨 후 수위하강에 따라 배수펌프장을 정상가동했다고 설명했다. 또 군은 침수가 된 상태에서 가동을 시켜 모터이상이 발생되었다면 성주읍은 오랜시간 침수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예산천 정비 잘못으로 하천이 범람하고, 결과적으로 성주읍이 침수를 당했다고 주장하는 대책위원회의 주장에 대해서는 예산천 정비는 평균 하폭을 6.2m 정도 확장하고, 제방 높이도 기존과 차이가 없으며, 통수단면적도 정비전의 40㎡보다 21㎡ 늘어난 61㎡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예산천의 방재 기능은 오히려 강화됐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에 대한 보상대책 요구에 대해서는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지침에 의거 태풍 ‘매미’나 ‘루사’때에는 소상공인에 대해서도 침수주택과 동일하게 보상이 됐으나, 2011년 복구계획수립지침이 개정되면서 소상공인 및 회사원, 공무원 등에 대해서는 보상을 할 수 없으며, 다만 재해구호기금에서는 1백만원까지 지원할 수 있어 주택과 동일한 지원을 요구하는 침수피해지역 소상공인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게 되어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말했다. 성주군은 향후 재해로부터 안전한 성주읍을 만들기 위해, 이번 태풍 피해를 계기로 삼아 항구적 복구를 추진키로 했다. 이에 군은 인근의 김천이나 고령보다 많은 893억원의 태풍피해복구 예산을 확보하여 내년 우수기 전까지 완료하고 특히 이번 성주읍 시가지 침수에 대하여는 배수펌프장을 증설에 149억원, 예산천과 이천 제방 보강에 133억원 등 282억원을 들여 20년 빈도의 강우량보다 30년이 늘어난 50년 빈도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성주군 관계자는 “이번 예산 확보를 통해 성주읍 시가지 홍수방재 기능이 크게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지역주민들은 안심하고 생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