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경제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진작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김용현 지식서비스산업팀장은 30일 ‘대경 CEO Briefing’ 338호를 통해 ‘대구경북 경제 활성화, 소비진작으로 부터’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김용현 팀장은 과거에는 생산이 소비를 결정했다면 이제는 소비가 생산을 결정하는 시대로 소비수요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생산능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역내수 중에서 민간소비가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민간소비 확보를 통해 대외경제 여건 변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2010년 지역내총생산에서 민간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구 77.6%, 경북 33.5%로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국내 경제는 2011년 4/4분기 들어 민간소비가 전분기대비 0.4% 감소하여 경기위축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 대구경북 지역의 소비위축 원인은 생산 및 소득기반 약화, 높은 가계부채에 따른 민간소비(심리) 위축, 기타 잠재수요 부족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특히 2012년 2월말 현재 대구지역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액(가계부채)은 약 22.4조 원으로 지역내총생산(36.3조원)의 61.7%를 차지하고, 경북은 약 18조 원으로 경북 지역내총생산(79.4조원)의 22.7%이다. 이러한 높은 가계부채가 소비심리위축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용현 지식서비스산업팀장은 소비진작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신성장 동력산업과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의 육성 및 산업구조 고도화로 소득기반을 확충하고, 가계부채가 지역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연착륙을 유도하며, 서민가계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서민금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의 역외유출자금을 차단하는 등 지역 자금흐름의 선순환구조를 확립하고, 지역 유망 중소기업들의 브랜드를 육성하는 한편 생산자단체의 직판장을 확대하여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이 실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실천 가능한 단기적 소비진작 정책으로는 ‘소비촉진 행사 제도화 및 소비진작 시민서포터즈 결성’ ‘지역기업 및 전통시장과 협약을 통한 소비활성화’ ‘지역사랑운동과 연계된 지역상품 소비’ ‘머무는 관광 도시 조성’ 등을 들었다. 김영곤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