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소재 시군의회 공동발전협의회는 안전성을 확보하지 않은 노후 원전의 계속운전에 반대하며 노후원전을 폐쇄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했다.
협의회는 30일 부산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상정해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원전이 위치한 5개 자치단체인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경북 경주시, 전남 영광군, 경북 울진군의 의회로 구성된 이 협의회는 "일본의 원전 참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30년 수명을 다하고 안정성이 결여된 노후 원전의 계속운전은 절대 불가하며 즉각 폐쇄돼야 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노후 원전인 부산의 고리 1호기의 계속운전 후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를 조직적으로 은폐해 불신을 자초했다"며 "경주의 월성 1호기도 지금까지 51회의 사고로 월성원전 전체 98회의 52%를 차지하는 최고의 노후 위험시설"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정부와 원전 관리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일본 원전사고 후 원전 선진국에서도 노후 원전폐쇄 또는 탈원전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직시하고 국민의 목숨을 담보한 노후 원전 계속운전 정책을 국민의 이름으로 강력히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협의회의 건의안은 현재 정부와 한수원의 노후 원전 계속운전을 위한 명분을 쌓으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형식적 안전점검을 즉각 철회하는 요구도 담았다.
또 협의회는 중ㆍ저준위 방폐장 특별법과 원자력안전법 개정, 사용후 핵연료 보관에 대한 정부지원 및 중ㆍ장기 관리방안 조기수립,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 위원회 참여 및 한수원 직원채용 할당제 도입 등을 요구했다.
원전소재 5개 지방자치단체 행정협의회도 지난 2일 안전성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 고리원전 1호기와 월성원전 1호기를 포기한다는 내용의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