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지역 기후변화와 대기환경을 감시할 정지궤도 환경위성(지구환경위성)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환경부는 2018년 발사를 목표로 정지궤도 환경위성을 개발하기 위해 올해 안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이 해외공동개발업체를 선정한뒤 2015년 환경위성본체를 제작하고 지상국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28일 발표했다.
환경부는 지난달 개최된 전지구위성관측위원회(CEOS), 유럽지구과학총회(EGU)에서 특별 세션을 열어 미국과 유럽 위성전문가들의 기술적 검토를 거쳐 국제적 수준의 환경위성 성능과 규격을 마련하는 등 본격적인 환경위상 개발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수명이 10년인 지구환경위성은 낮시간에 주요 기후변화 유발물질인 O₃(오존), 장거리 이동오염물질인 SO₂(이산화황), NO₂(이산화질소), 에어로졸, HCHO(포름알데히드) 등을 주로 관측한다.
환경부는 "현재 추진 중인 지구환경위성은 세계 최초의 대기환경 감시용 정지궤도 위성"이라며 "미국과 유럽에서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사례는 있으나 정지궤도 위성은 최초"라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지구환경위성을 도입하면 동아시아 지역의 기후 변화와 대기환경변화를 상시 감시하고 미래 예측 능력을 고도화, 한반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