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격차ㆍ소득 불균형 등 최근 농촌지역의 소득 양극화 현상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에서 농가인구가 가장 많은 경북의 경우, 도내 가구주의 절반 가까이가 자신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낮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본인의 소득에 대해서도 ‘불만족스럽다’는 답변이 49%를 넘었다.
동북지방통계청이 지난 24일 경북지역 사회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북도내 가구주의 49.2%는 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을 고려할 때 자신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는 ‘하층’이라고 응답했다.
‘상층’이라고 생각하는 가구주는 1.3%에 불과했고 ‘중간층’은 49.1%로 전국 평균보다 3.7% 포인트 낮았다. 그러나 ‘하층’은 전국 평균 45.3%보다 3.9%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9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상층’이나 ‘중간층’의 비율은 각각 0.5%포인트, 1.1%포인트 감소했고 ‘하층’에서만 2.4%포인트 늘었다. 또 본인의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53.5%가 지위 향상과 계층이동에 부정적이었다.
이처럼 경북도내 가구주들이 자신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대해 낮게 인식하고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현재 자신의 생활에 불만족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내 가구당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187만원 수준으로, 소득이 있는 19세 이상 인구 중 본인 소득에 만족하는 사람은 11.1%로 2009년의 13.9%보다 2.8%포인트나 감소한 반면, 불만족인 사람은 48.9%로 2년 전에 비해 0.6%포인트 늘어났다.
주관적으로 본인의 소득수준이 모자란다라는 응답은 45.2%에 달했으며 현재 소비생활에 만족한다는 사람은 12.2%에 그쳤다.
특히 앞으로 재정상태 향상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가구주는 21.7%에 머물렀으며 `변화없음`이 56.3%, `악화될 것`이라는 답변이 22%로 집계됐다.
한편 도내 주민들은 사회ㆍ경제적 지위 상승과 함께 계층이동의 폐쇄성 해소를 위해서는 `조세부문`을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30.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취업부문(28.2%)`, `경찰ㆍ사법부문(16.3%)` 등의 순으로 답했다.
취업의 경우, 청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이 24.5%로 1위를 차지했으며 대기업(22.9%), 공기업(17.3%), 전문직기업(9.3%) 등이 뒤를 이었다.
장성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