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경주는 어땠을까. 신라의 천년왕도로 주목받는 경주의 고려시대를 집중 조명하는 전시가 최초로 열린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은 12일 오후 4시 개막행사를 갖고 오는 9월 4일까지 특별전 `고려시대의 경주`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신라가 멸망한 935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시대 경주 지역 사회의 변화와 지역민들의 삶을 `도시경관`과 `지역사회`라는 키워드로 풀어냈다. 불국사 석가탑 중수기(국보 126호) 등 국보 3점, 보물 15점을 비롯 모두 500여점의 문화재를 △ 프롤로그:경주의 탄생 △1부 읍성과 지역사회 운영 △2부 호국의 상징 황룡사 △3부 지역사회와 불교사원 △4부 동족사회와 무덤 △5부 경주사람들 △에필로그:고려의 동경 경주라는 주제로 구성했다. 프롤로그에서는 경순왕의 고려 귀순으로 경주가 신라 왕경에서 고려의 지역도시로 재편되는 과정을 다룬다. 1부 `읍성과 지역사회 운영`에서는 고려시대 경주의 행정 중심이 된 읍성과 지역사회 운영의 모습을 전시한다. 성벽 축조에 사용된 신라 건축물의 석재들과 고려 기와들, 동경 굴석사가 새겨진 굴불사 출토 쇠북은 1183년 경주의 전 호장 이백유와 승려 도인이 제작에 참여했고 경주를 동경으로 칭했음을 보여준다. 각종 선생안과 호장 관련 전적은 호장과 부윤의 면면을 보여 주는 중요한 전시품이다. 1182년에 세워진 효자 손시양 정려비(보물 제68호)의 입체탁본은 경주가 효행의 도시였음을 보여준다. 2부 `호국의 상징 황룡사`에서는 신라의 중심 사찰이었던 황룡사가 고려시대도 경주민의 정신적 중심으로서 여전히 호국의 상징이었음을 새롭게 조명한다. 각종 대형 기와들과 청자 등 고려시대 황룡사 출토품들은 웅장했던 당시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3부 `지역사회와 불교사원`은 경주의 불교사원이 종교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불국사 성보박물관 부지 출토 명문기와에서 고려시대 불국사가 숙박시설을 겸했음을 알 수 있다. 동시대 문집자료에서는 분황사가 사람들의 휴식 공간이었음을 말해 준다. 또 불국사 석가탑 중수문서(국보 제126호)에서는 지역 사회가 하나돼 천재지변을 극복한 모습을, 감은사 쇠북에서는 왜구의 침입을 극복했던 모습을 접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불국사 석가탑 중수기(국보 126호), 왕실이 발원한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10(보물 959­1­1호) 등 10여점의 국보·보물이 전시된다. 4부 `동족사회와 무덤`에서는 경주의 고려시대 무덤군을 통해 동족집단의 무덤을 살펴본다. 물천리·화천리·검단리 등 대규모 무덤군에서 일괄로 출토된 청동 그릇과 거울, 수저, 청자 등 규범화된 부장품들이 밀도있게 소개된다. 도읍인 개경에서 발견된 것과 거의 유사한 경주 구정동 출토 쌍용구름무늬띠거울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5부 `경주사람들`에서는 이제현·김부식·이의민 등 경주와 관련된 인물들을 소개한다. 초상화, 문집, 비문 등으로 그들의 모습과 행적, 그리고 시대적 상황을 되짚어 볼 수 있다. 또한 고려귀족을 상징하는 묘지명으로 귀족사회에 진입한 경주출신 인물들을 보여준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기림사 소장 자비도량참법에서 발견된 13세기 고려시대 구결과 임진왜란 이전에 작성된 유일한 호장안인 부사선생안을 처음 공개한다. 최근 발굴조사가 이뤄진 경주 읍성 및 구정동 고려무덤 출토품도 이번 전시에서 공개된다.이 밖에 효자의 마을로 선양한 황남동 소재 손시양 효행정려비 일명 효자리비(보물 68호)의 입체탁본, 고려시대 경주 역사를 집성한 역사 연표와 지도, 영상과 삽화가 전시 이해를 돕는다. [경상매일신문=최보아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전화] 070-7198-8884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