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4ㆍ11총선 공천 후폭풍 속에 22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이 결국 비대위를 떠나기로 했다.
당이 중앙선거대책위 출범으로 4ㆍ11총선 체제로 전환된만큼 비대위원직에서 사퇴하고 당분간 휴지기를 갖겠다는 것이 표면적 이유다.
그는 이달초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만나 사의를 표명하면서도 “12월 대선에서 박 위원장이 정권을 창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 박 위원장을 돕겠다”는 말로 ‘절연’이 아님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서는 비대위원으로 남아있어도 될 그가 굳이 사퇴 카드를 던진 것은 당 개혁의 ‘화룡점정’인 공천에 대한 불만 때문일 것이라는 해석이 다수다.
‘경제민주화’라는 깃발을 올리며 당 정강정책의 방향은 틀었으나 이를 실행할 인물을 영입하는 공천에서 인적쇄신이 이뤄지지 않은데 대한 ‘항의’라는 것이다.
그는 최근 사석에서 “공천자 중에서 경제민주화를 실현할만한 사람이 어디 있느냐”며 일부 적임자가 낙천한 데 대해 “공천위가 정치적 감각이 없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당내에서는 그의 목소리가 공천에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는 줄곧 이명박 정부와의 인적 절연을 요구했으나 공천에 깊숙이 영향력을 미친 일부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이 ‘MB와의 화합론’을 주장하면서 이 같은 요구가 관철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의 불만은 비대위의 재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공천위가 전날 ‘MB노믹스’를 상징하는 이만우 고려대 교수를 ‘청와대몫’ 비례대표 후보로 그대로 공천한데서 정점에 달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친이(친이명박)계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 등의 공천 후 그가 사퇴의지를 내비쳤을 때만해도 박 비대위원장이 나서면서 상황이 가라앉았으나, 이후 공천에서도 ‘MB와의 단절’이 계속 모호해지자 비대위원직을 던지는 강수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비대위원들은 당의 의결기능 유지를 위해 비대위에 남기로 했으나 대다수 김 위원과 뜻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선거전에서 야권의 정권심판론이 거세지면 청와대의 공천개입 가능성은 자연히 여당을 궁지로 몰아넣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곤 청와대 정무수석이 새누리당의 모 후보에게 보낸 공천 축하 문자메시지나 ‘4대강 전도사’인 김희국 전 국토해양부 차관, ‘한미FTA 전도사’인 김종훈 전 통상교섭본부장, ‘언론대책회의’ 의혹을 받고 있는 김회선 전 국정원 2차장의 공천, 이만우 교수의 비례대표 공천 등이 예시된다.
그러나 이들의 강한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공식선거운동이 29일부터 시작되는만큼 또다시 공천자가 철회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연합